<제목 차례>
요 약 1-27
Ⅰ. 서 론 1
Ⅱ. 문헌연구 4
1. 부채벤치마크지수의 개념 4
2. 부채벤치마크지수와 기금운용 9
3. 부채중심투자(Liability Driven Investment: LDI)의 해외 사례 19
1) 네덜란드 ABP의 LDI 투자전략 19
2) 부채헤징 포트폴리오(LHP)와 수익극대화 포트폴리오(ROP)의 투자전략 23
4. 공적연금부채의 평가모형 25
1) 추계, 회계 및 재무학의 공적연금부채에 대한 인식 25
2) 공적연금부채의 평가모형 27
3) 연금부채 시장가치모형과 추계모형의 차이점 33
Ⅲ. 자료 및 방법론 37
1. 자료 37
2. 국민연금 부채벤치마크지수 추정방법 37
1) 수급자 부채 추정방법 38
2) 가입자 부채 추정방법 40
3) 부채벤치마크지수 추정방법 49
Ⅳ. 국민연금 부채벤치마크지수 실증분석 52
1. 국민연금 부채벤치마크지수 추정결과 52
1) 코호트별 변수 통계 52
2) 소득과 주가의 요인계수 추정결과 64
3) 무위험 실질이자율 기간구조 추정결과 66
4) 국민연금의 부채벤치마크지수 추정결과 69
2. 국민연금 부채벤치마크지수 수익률과 자산운용성과 비교 71
1) 국민연금 부채벤치마크지수 대비 운용성과 71
2) 국민연금 부채벤치마크 대비 운용성과의 헤징효율성 76
3) 국민연금 부채벤치마크지수와 자산별 운용성과 78
3. Surplus 모형과 Markowitz 모형의 자산배분 비교 81
4. 국민연금 부채벤치마크지수의 민감도 분석 84
Ⅴ. 결론 및 정책제언 87
참고문헌 9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