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차례>
<요 약> ⅰ~ xx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및 구성 3
Ⅱ. 다기간 성과요인 분해 5
1. 문제의식 및 연구의 구성 5
2. 성과요인분해에 대한 문헌 연구 6
2.1 단일기간 모형에 대한 선행 연구 6
2.2 다기간 모형에 대한 선행 연구 9
2.2.1 Carino(1999)의 연구 10
2.2.2 Menchero(2000)의 연구 14
2.2.3 Frongello(2002)의 연구 16
2.2.4 Davies & Laker(2001)의 연구 22
3. 자료 및 방법론 25
3.1. 자료 25
3.2. 방법론 26
3.2.1 Carino 모형 27
3.2.2 Menchero 모형 28
3.2.3 Compounded Notional Portfolio(CNP) 모형 29
3.2.4 Frongello 모형 30
4. 실증분석 결과 31
4.1 국민연금기금의 초과수익에 대한 수익분해 31
4.1.1 Compounded Notional Portfolio(CNP) 모형에 의한 수익분해 31
4.1.2 Carino 모형의 수익분해 34
4.1.3 Menchero 모형의 수익분해 35
4.1.4 Frongello 모형의 수익분해 37
4.1.5 모형 간 비교 39
4.2 연간 수익분해 43
5. 소결 및 정책제언 46
Ⅲ. 환효과에 대한 성과요인 분해 50
1. 문제의식 및 연구의 구성 50
2. 국민연금기금의 환정책 51
2.1 국민연금의 해외투자 51
2.2 국민연금의 환헤지 정책 53
2.3 국민연금의 환관리 현황 57
3. 국민연금의 환효과 분해 방법론 61
3.1 환효과 분해구조 61
3.2 세부방법론 63
3.2.1 해외자산 수익률의 환효과 분해 63
3.2.2 초과수익의 환효과 분해 64
4. 실증분석 66
4.1 자료 66
4.2 총수익성과의 환효과 분해 68
4.2.1 해외주식 총수익의 환효과 68
4.2.2 해외채권 총수익의 환효과 69
4.3 초과수익성과의 환효과 분해 71
4.3.1 해외주식 초과수익의 환효과 71
4.3.2 해외채권 초과수익의 환효과 74
5. 소결 및 정책적 시사점 75
5.1 적용 환율의 문제 76
5.2 헤징 수단의 문제 77
5.3 환관리 시스템의 문제 79
Ⅳ. 결 론 80
참고문헌 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