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부동산시장 저변 확대하는 글로벌 지수 최초 개발
- 영국 FTSE 러셀과 협력해 틈새 및 비핵심 지수 개발 -
- 데이터센터·요양시설·삼림 등 신규영역 투자 활성화 기대 -
□ 국민연금이 투자가 활발하지 않은 틈새 및 비핵심(Niche & Non-Core) 부동산 섹터에 대한 글로벌 지수를 세계 최초로 개발해 부동산 투자 저변을 넓혔다.
○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본부장 서원주)는 런던증권거래소 그룹 자회사인 FTSE Russell과 협업을 통해 ‘FTSE EPRA Nareit Developed Extended Opportunities RIC 6/45 Capped Index’(이하 신규지수)를 개발해 작년 11월부터 글로벌 지수로 활용하고 있다고 2일 밝혔다.
□ 신규지수는 사무용 빌딩, 백화점과 같은 판매시설 등 전통 섹터 위주의 부동산 포트폴리오를 보완하기 위해 고안됐다.
○ 기존 부동산 지수인 FTSE EPRA Nareit Developed Indexes의 방법론을 탈피, 종목을 세분화해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한다.
○ 이 지수는 국민연금을 비롯해 부동산 시장의 다양한 고객을 위해 제공된다.
□ 신규지수는 전통 섹터를 제외하고, 틈새 및 비핵심* 섹터만으로 디자인된 것이 특징이다.
* 데이터센터, 셀프 스토리지(물품 보관 서비스), 요양시설, 생명과학 연구시설, 삼림, 단독주택, 조립식 주택, 병원·진료 시설, 학생 기숙사 등
○ 틈새 및 비핵심 섹터는 전통 부동산에 비해 성장 가능성이 크고, 경제 순환과 상관관계가 적어 새로운 투자처로 여겨진다.
○ 그간 시장의 높은 관심과 필요에도 벤치마크(운용성과를 측정하는 기준수익률)로 활용 가능한 지수가 없어 투자가 미진했다.
□ 국민연금은 틈새 및 비핵심 섹터에 대한 지수 개발을 FTSE 러셀에 요청했고, 그 결과 신규지수가 2022년 11월부터 FTSE 러셀의 표준 지수로 제공되고 있다.
○ 틈새 및 비핵심 섹터에 벤치마크 솔루션이 제공되면서 시장참가자들의 투자 접근성이 높아지고, 성과 평가가 가능해졌다.
○ 지수 개발의 주역인 김주성 책임운용역은 “그간 틈새 및 비핵심 부동산 섹터만을 포괄적으로 투자하는 것에 대한 수요가 있었다”며 “이를 위해선 해당 섹터에 대한 정의 및 성과평가를 위한 벤치마크가 필요해 개발을 논의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 신규지수는 국민연금의 틈새 및 비핵심 부동산 시장 선점 효과와 함께 수익률 제고에 기여할 전망이다.
○ 국민연금은 신규지수를 활용해 10억 달러 규모의 부동산 포트폴리오 다변화 전략을 실행할 계획이다.
○ 한편 신규지수는 미국, 영국, 호주, 벨기에, 캐나다, 싱가포르 등 10개국에 상장된 70개의 종목을 편입하고 있으며, 4.05%* 수준의 배당 수익률을 나타낸다.
* 2023년 3월 말 직전 12개월 기준
□ 서원주 본부장은 “신규지수는 국민연금의 부동산 투자 포트폴리오 다변화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 “틈새 및 비핵심 부동산 섹터에 대한 투자 기회를 적기에 확보하고, 투자 포트폴리오의 중장기 위험조정수익률 제고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