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08)국민연금기금의 위험관리체계 개선
작성부서
등록일
20080101
조회수
7769
내용

제목 차례


머리말


 

요 약


 

Ⅰ. 서  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목적 및 구성 2


 

Ⅱ. 대체투자의 이론적 기초 4

  1. 대체투자의 정의와 분류 4

    1.1 대체투자의 정의 및 특성 4

    1.2 대체투자의 특성 5

    1.3 대체투자의 분류 6

  2. 대체투자의 편익 9

    2.1 추가적인 분산투자효과(Additional diversification) 10

    2.2 잠재적인 고수익기회 제공(Potential for higher returns) 11

    2.3 장기투자에 적합(Longer-term horizons) 12

  3. 대체투자 세부자산군별 특성 13

    3.1 사모주식(Private Equity) 13

    3.2 부동산투자(Real estate investment) 20

    3.3 인프라자산 22

    3.4 헤지펀드 27

    3.5 Commodity 34

    3.6 managed futures 40

  4. 대체투자의 위험 42

    4.1 레버리지위험(Leverage Risk) 43

    4.2 거래상대방 위험(counter party risk) 43

    4.3 투명성의 부족(lack of transparency)과 매니저 위험 44

    4.4 유동성 위험(liquidity risk) 45

    4.5 신용위험과 유동성위험의 상호 의존적 관계: 통합위험 45

    4.6 대체투자의 벤치마크(Benchmarking in alternative

        investment) 46

    4.7 대체투자의 동적이고 비선형적인 위험 51


 

Ⅲ. 대체투자 현황과 시사점 53

  1. 국민연금의 대체투자 현황 53

  2. 국내사례 55

  3. 해외 사례 58

    3.1 대체투자 비중과 수익성과 59

    3.2 캘리포니아 공무원연금(CalPERS) 61

    3.3 캐나다 공적연금(CPPIB) 64

    3.4 스위스 공적연금(City of Zurich Pension Fund) 65

    3.5. 스위스 연기금자산운용(PPCmetrics) 70

    3.6 프랑스 공적연금(French Pension Reserve Fund) 71

    3.7 프랑스 투자은행(BNP Parbas Investment Partners) 72

    3.8 일본 기업연금연합회(PFA) 75

  4. 시사점 79


 

Ⅳ. 대체투자 자산의 위험관리방안 82

  1. 대체투자 위험관리의 3단계 핵심차원 83

    1.1 전략적자산배분(PLAN) 85

    1.2 운용사 평가(DO) 86

    1.3 투자모니터링(SEE) 90

  2. 의사결정 시스템에 따른 자산군 포지셔닝 92

    2.1 Position - 1 94

    2.2 Position - 2  95

    2.3 Position - 3 98

    2.4 Position 관리 종합 99

  3. 대체투자 위험관리체계 구축의 가이드라인 99

    3.1 계획단계에서의 가이드라인 100

      3.1.1 도입목적의 명확화 100

      3.1.2 환경분석 101

      3.1.3 투자가능 대체자산군의 위험 수익 구조 파악 102

      3.1.4 투자금액의 크기와 형태의 결정 104

      3.1.5 국민연금의 전체포트폴리오차원에서 분석 104

    3.2 실행단계에서의 가이드라인 105

      3.2.1 매니저평가와 선정 105

      3.2.2 투자금액의 할당 106

      3.2.3 대체투자 운용정책서의 제정 106

    3.3 모니터링단계에서의 가이드라인 107

      3.3.1 모니터링 107

      3.3.2 포트폴리오 재조정 108

      3.3.3 운용정책서의 재검토 108

    3.4 기타 사항 108

  4. 자산군별 위험관리방안 109

    4.1 사모주식(Private Equity) 111

    4.2 부동산 112

    4.3 인프라 스트럭쳐 113

    4.4 헤지펀드 114

    4.5 Commodity 116

    4.6 managed futures 117

    4.7 종합 117

  5. 내부통제 시스템을 통한 위험 관리 118

    5.1 내부통제시스템의 구조적 측면 118

    3.2 감사 제도를 통한 위험관리 120


 

Ⅴ. 결론 및 시사점 122

첨부
(정책01)국민연금기금의 위험관리체계 개선 - 대체투자군 중심으로 -.pdf
목록
다음글
(08)국민연금 기금운용의 허용위험기준에 관한 연구
이전글
(08)국민연금기금의 금융신상품 투자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