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국민연금기금 직접운용 주식벤치마크 설정에 관한 연구
작성부서
등록일
20060101
조회수
6272
내용
차례

I. 서론 1
1. 연구의 배경 1
2. 연구의 구성 2

II. 기금운용과 주식 벤치마크 4
1. 국민연금기금 주식직접운용 벤치마크 현황 및 문제점 4
1.1 국민연금기금 주식 운용 현황 4
1.2 주식직접운용 보유 종목 분석 6
1.3 현행 벤치마크(KOSPI200T)의 문제점 8
2. 국내 주요 주가지수 10
2.1 KOSPI200 11
2.2 KOSTAR 14
2.3 KRX100 15
3. 거래소시장과 코스닥시장 비교 17

III. 시장 통합성 검정(Market integration test) 21
1. 통합성 검정 방법론 21
2. 거래소와 코스닥 시장간 통합성 검정 23
2.1 통합성 검정 모형 23
2.2 자료 생성 24
2.3 실증분석 결과 26

IV. 주식직접운용 사용자형 벤치마크(customized benchmark) 31
1. 국민연금기금 사용자형 주식벤치마크(NPS200) 개발 31
1.1 지수 구성 종목 선정 31
1.1.1 심의대상 종목의 선정 32
1.1.2 평가대상 종목의 선정 32
1.1.3 구성종목에 대한 기타 제약조건 35
1.1.4 구성 종목수의 결정 37
1.2 구성 종목의 변경 39
1.2.1 정기변경 39
1.2.2 특별변경 40
1.2.3 구성종목 선정 특례 41
1.2.4 종목 교체율 비교 41
1.3 지수 산출 기준 42
1.3.1 총상장주식수 vs 유통주식수(free-float shares) 43
1.3.2 시가총액비중 상한(capital limit) 44
1.4 지수 산출 방법 45
1.4.1 자본이득지수(Capital return index) 46
1.4.2 총수익지수(Total return index) 47
2. 신규 산출 지수의 특성 비교 50
2.1 신규 산출 지수 조합 50
2.2 범주별 지수 비교 52
2.3 지수별 수익률 비교 55
2.4 산출 지수 상관관계 분석 57
2.5 유동성 기준 비교 58

V. 사용자형 지수와 시장 지수와의 적합성 분석 61
1. 벤치마크 지수 선정 기준 61
2. 통합지수를 위한 대안 64
2.1 대안 벤치마크 지수 64
2.2 적합성 평가 기준 항목 66
3. 대안별 지수 비교 69
3.1 자료의 수집 및 산출 70
3.2 시가총액 대표성 비교 70
3.3 구성 종목의 편출입 비교 72
3.4 구성 종목의 유동성 분석 74
3.5 수익률 특성 분석 77
3.6 종목별 집중도 분석 80
3.7 분석 결과 종합 82

VI. 결론 및 시사점 85

참고문헌 87
첨부
국민연금기금 직접운용 주식벤치마크 설정에 관한 연구.pdf
목록
다음글
공적 연기금의 사회책임투자(SRI) 방안
이전글
국민연금기금 위탁운용 주식벤치마크에 관한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