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01) 기금운용 성과평가 모형개발(1)
작성부서
등록일
20010101
조회수
5833
내용
- 목차 -
Ⅰ. 서 론 1

Ⅱ. 모닝스타의 성과평가 방법 4
1. 모닝스타의 성과측정 : 분석 대상 펀드 개요 5
가. 펀드와 총 자산 5
나. 3년 만기 주식펀드 6
다. 6년 만기 주식펀드 8
라. 관리운용비용 비율 9
마. 매매빈도 12
바. 펀드간의 상호관계 13
2. 3년간 펀드의 등급변화 16
3. 모닝스타의 성과 측정 샤프지수(Sharpe Ratio) 19
가. 모닝스타 측정값과 성과측정치 샤프지수와의 비교 19
나. 초과샤프비율의 경제학적 의미 22
다. 음의 샤프지수 (Negative Sharpe Ratio) 24
라. 비용지출과 샤프지수간의 관계 25
마. 관리비용 지출의 외 표본 검정과 내표본 검정 분석 30
4. 모닝스타의 성과측정 범주 등급 설정 33
가. 효용기반(Utility-based)성과측정과 규모독립(Scale-independent) 성과측정 33
나. 모닝스타의 범주등급 35
다. 일관적인 위험조정 등급 37
라. 꺽인 이중선(Bi-Linear) 효용함수를 가진 투자자의 기대 효용 39
마. 꺽인선 효용함수 (Bilinear Utility Function)의 결과 40
바. 위험측정의 평균 손실과 표준편차 41
사. 손실회피 정도의 선택(Selecting the Loss-aversion parameter)43
아. 모닝스타의 호황기(Good time) 등급 44

Ⅲ. 주가수익률 결정모형과 성과평가방법 50
1. CAPM 모형에 의한 성과평가 방법 46
가. 성과 평가 기법 46
(1) 직접비교 평가 46
(2) 위험수준이 다른 펀드 평가 46
(3) 트레이너-마주이 모형에 의한 마켓타이밍 54
(4) 헨릭슨-머튼모형에 따른 장세판단능력분석 55
(5) 데일리 타이머모형 56
나. 성과 평가 분해(Decomposition of Overall Evaluation) 57
(1) 포트폴리오성과의 분해와 포트폴리오 선택능력 57
(2) 분산투자효과에 대한 평가 61
2. CAPM모형에 의한 성과 평가 방법의 한계점 62
(1) CAPM과 CML의 구조적 결함(misspecification)에 의한 문제점 63
(2) 시장포트폴리오 비효율성에 의한 문제점 65
(3) 기타 문제점 66

Ⅳ. 다요인모형을 이용한 주가수익률 결정요인 67
1. 서론 67
2. 다요인 모형에 의한 주가수익률 분석 70
가. 차익거래 가격결정 이론(APT)의 이론적 배경 70
나. 이례현상과 다요인 모형 73
3. 연구 설계 및 방법 86
가. 자료 86
나. 연구방법론 89
다. 실증결과 분석 89
(1) 다요인 위험프레미엄 유의성 검증 결과 92
(2) CAPM의 시장위험프레미엄의 유의성 검증 결과 92
(3) Factor Model을 이용한 주가 수익률의 상대적 예측 99
(4) 단일요인을 이용한 주가 수익률의 상대적 예측 103
4. 결 론 103

Ⅴ. 국민연금주식투자 성과평가 104
1. 서 론 104
2.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 수익률을 이용한 성과분석방법 105
가. 수익률 105
나. 위험 107
다. 매매타이밍능력 평가 113
라. 종목선택능력 평가 117
3. 국민연금의 포트폴리오 수익률-가중치를 이용한 성과분석방법 118
가. 수익률과 포트폴리오 가중치를 이용한 성과평가 측정방법 118
나. DGTW에 의한 성과평가 분해방법 123
(1) CS(characteristic-selectivity)성과지표 124
(2) CT(characteristic-timing) 성과지표 124
(3) AS(Average Style) 성과지표 125
다. BLT에 의한 성과평가 분해방법 126
(1) 운용수익률의 분해 128
(2) Capital Asset Pricing Model (CAPM)에 의한 기금의 운용수익률 분해 129
(3) Multi-factor Model 에 의한 기금의 운용수익률 분해 130
4. 2000년도 성과 분석 실증 분석 결과 130
가. 자 료 130
나. CAPM를 이용한 주식선택능력 및 마켓타이밍 능력 평가 130
(1) 베타추정 131
(2) 국민연금의 주식부분 가중치 산출 131
(3) 주식선택능력과 마켓타이밍 능력 분석 132
다. Multi-Factor 모형(Fama-French 모형)을 이용한 주식선택능력 및 마켓타이밍 능력 평가 134
(1) Fama-French 모형에 의한 위험프레미엄 측정 134
(2) 주식선택능력과 마켓타이밍 능력 분석 142
라. GT 성과지표에 의한 성과평가 144

Ⅵ. 요약 및 결론 147

<부록 1> 모닝스타의 성과측정 계산식 156
<부록 2> WM Company의 성과측정 170
첨부
84 기금운용 성과평가모형 개발1.pdf
목록
다음글
(01) 국민연금기금 위험관리방안
이전글
(01) 국민연금 기금운용 연차보고서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