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 차|Contents
<요 약> 1
Ⅰ. 서론 23
Ⅱ. 기존연구 검토 27
Ⅲ. 패널모형 분석 33
1. 분석자료 설명 33
2. 주요국 인구 추이 34
3. 인구구성비와 인플레이션 관계 45
4. 패널모형 추정 50
Ⅳ. 중첩세대모형 분석 61
1. 연구방향 61
2. 모형개략 62
3. 모형설정 64
4. 시뮬레이션 76
5. 장기 물가 추계 86
Ⅴ. 요약 및 시사점 93
부록: 자가고용-기업 혼합모형 97
참고문헌 103
표차례
<요약 표 1> 국가별 인구구성비 추이 3
<요약 표 2> 고정효과와 확률효과 모형 추정 5
<요약 표 3> 인플레이션 추정결과(system GMM) 7
<요약 표 4> 기준 파라미터 15
<요약 표 5> 물가추계 기준 파라미터 21
<표 Ⅲ-1> 사용자료 기초통계량 34
<표 Ⅲ-2> 국가별 인구구성비 추이 41
<표 Ⅲ-3> 국가별 인플레이션과 인구증가율 50
<표 Ⅲ-4> OLS 추정 결과 52
<표 Ⅲ-5> 하우스만 검정 53
<표 Ⅲ-6> 고정효과와 확률효과 모형 추정 54
<표 Ⅲ-7> GLS, GEE, PCSE 추정 56
<표 Ⅲ-8> system GMM 추정 59
<표 Ⅳ-1> 기준 파라미터 77
<표 Ⅳ-2> Vasicek 모형 기준 파라미터 78
<표 Ⅳ-3> 물가추계 기준 파라미터 88
<표 Ⅳ-4> 물가상승률 모형1 기초통계량 89
<표 Ⅳ-5> 물가상승률 모형2 기초통계량 89
<표 Ⅳ-6> 추정된 개인내재부도율 기초통계량 89
그림차례
[요약 그림 1] 인플레이션과 인구증가율 4
[요약 그림 2] 인플레이션과 65세이상 인구 비율 4
[요약 그림 3] 인구성장률 감소효과 15
[요약 그림 4] 생존율 증가효과 16
[요약 그림 5] 단기적 금리인상효과 17
[요약 그림 6] 장기적 금리인상효과 17
[요약 그림 7] 금리인상효과 1(Vasicek 이자율모형) 18
[요약 그림 8] 금리인상효과 2(Vasicek 이자율모형) 18
[요약 그림 9] 성공률 증가효과(전액투자모형) 19
[요약 그림 10] 투자비중 증가효과(부분투자모형) 19
[요약 그림 11] 물가상승률 추계(전액투자모형) 22
[요약 그림 12] 물가상승률 추계(부분투자모형) 22
[그림 Ⅲ-1] 인구증가율 추이 35
[그림 Ⅲ-2] 국가별 인구증가율 추이(Ⅰ) 37
[그림 Ⅲ-3] 국가별 인구증가율 추이(Ⅱ) 38
[그림 Ⅲ-4] 국가별 인구증가율 추이(Ⅲ) 39
[그림 Ⅲ-5] 국가별 인구구성비 추이(Ⅰ) 42
[그림 Ⅲ-6] 국가별 인구구성비 추이(Ⅱ) 43
[그림 Ⅲ-7] 국가별 인구구성비 추이(Ⅲ) 44
[그림 Ⅲ-8] 인플레이션과 인구증가율 45
[그림 Ⅲ-9] 인플레이션과 근로계층(15~64세)비율 46
[그림 Ⅲ-10] 인플레이션과 근로계층(15~64세)비율 변화 47
[그림 Ⅲ-11] 인플레이션과 0-14세 인구 비율 48
[그림 Ⅲ-12] 인플레이션과 0-14세 인구비율 변화 48
[그림 Ⅲ-13] 인플레이션과 65세이상 인구 비율 49
[그림 Ⅳ-1] 인구성장률 감소효과 79
[그림 Ⅳ-2] 생존율 증가효과 80
[그림 Ⅳ-3] 단기적 금리인상효과 82
[그림 Ⅳ-4] 장기적 금리인상효과 82
[그림 Ⅳ-5] 금리인상효과 1(Vasicek 이자율모형) 83
[그림 Ⅳ-6] 금리인상효과 2 (Vasicek 이자율모형) 83
[그림 Ⅳ-7] 성공률 증가효과(전액투자모형) 85
[그림 Ⅳ-8] 투자비중 증가효과(부분투자모형) 86
[그림 Ⅳ-9] 물가상승률 모형1 추계 90
[그림 Ⅳ-10] 물가상승률 모형2 추계 90
[그림 Ⅳ-11] 개인내재부도율 추계 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