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연구 2018-07) 인구구조 변화가 저축률 및 이자율에 미치는 영향: 공적연금의 역할을 중심으로
작성부서
국민연금연구원
등록일
조회수
813
작성자
이하은
연락처
063-713-6754
내용

목 차|Contents
  

<요 약> 1

Ⅰ. 서론 13

Ⅱ. 선행연구 및 방법론 15

Ⅲ. 이론적 분석 19

1. 인구요인과 저축 19

2. 인구구조와 자산포트폴리오 32

3. 결과요약 및 시사점 44

Ⅳ. 실증분석 47

1. 인구구조와 저축 47

2. 인구구조와 이자율 59

3. 결과요약 및 시사점 63

Ⅴ. 결론 67

참고 문헌 69

  


표차례
 

<요약표 1> 인구구조 비중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Ⅳ 전제 6

<요약표 2> 시뮬레이션 Ⅳ: 은퇴자 비중, 공적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변화 7

<표 1> 주요 경제변수 관련 파라미터 값 23

<표 2> 노동생산성 관련 파라미터 값 24

<표 3> 가격 변수의 전제조건 24

<표 4> 시뮬레이션을 위한 연령별 생존율(survival rate)의 가정 25

<표 5> 시뮬레이션Ⅰ: 기대수명과 장수리스크의 변화 효과(65세 은퇴가정) 26

<표 6> 시뮬레이션 Ⅱ: 은퇴시점과 장수리스크의 변화 효과(80세 기대수명) 28

<표 7> 시뮬레이션 Ⅲ: 은퇴시점과 장수리스크의 변화와 소득대체율의 변화 30

<표 8> 인구구조 비중을 적용한 시뮬레이션 Ⅳ의 전제 37

<표 9> 시뮬레이션 Ⅳ: 은퇴자 비중, 공적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변화 38

<표 10> 시뮬레이션 Ⅳ: 은퇴자 비중, 공적연금 보험료율과 소득대체율 변화 39

<표 11> 시뮬레이션 Ⅴ: 사적연금이 도입된 모형에서 은퇴자비중의 변화와
공적연금 보험료율 및 소득대체율 변화 42

<표 12> 자료 구성 49

<표 13> 분석자료 요약 49

<표 14> 고령인구 비중의 OECD 선진국별 추이 요약 51

<표 15> 회귀분석 결과 1 55

<표 16> 회귀분석 결과 2 57

<표 17> 회귀분석 결과 1 60

<표 18> 회귀분석 결과 2 62

  
그림차례
 

<그림 1> 소비(시뮬레이션 Ⅰ) 27

<그림 2> 저축자산(시뮬레이션 Ⅰ) 27

<그림 3> 소비계수변동(시뮬레이션 Ⅰ) 27

<그림 4> 소득계수변동(시뮬레이션 Ⅰ) 27

<그림 5> 소비(시뮬레이션 Ⅱ) 29

<그림 6> 저축자산(시뮬레이션 Ⅱ) 29

<그림 7> 소비계수변동(시뮬레이션 Ⅱ) 29

<그림 8> 소득계수변동(시뮬레이션 Ⅱ) 29

<그림 9> 소비(시뮬레이션 Ⅲ) 31

<그림 10> 저축자산(시뮬레이션 Ⅲ) 31

<그림 11> 소비계수변동(시뮬레이션 Ⅲ) 32

<그림 12> 소득계수변동(시뮬레이션 Ⅲ) 32

<그림 13> 인구구조 시뮬레이션 Ⅳ의 가정 37

<그림 14> 소비(시뮬레이션 Ⅳ) 40

<그림 15> 저축자산(시뮬레이션 Ⅳ)  40

<그림 16> 주식보유비중(시뮬레이션 Ⅳ) 40

<그림 17> 채권보유비중(시뮬레이션 Ⅳ) 40

<그림 18> 소비(시뮬레이션 Ⅴ) 43

<그림 19> 유동자산(시뮬레이션 Ⅴ) 43

<그림 20> 주식보유비중(시뮬레이션 Ⅴ) 43

<그림 21> 채권보유비중(시뮬레이션 Ⅴ) 43

<그림 22> 소득(은퇴이후 공적연금 포함) 44

<그림 23> 개인연금 급여(시뮬레이션 Ⅴ) 44

<그림 24> (15~64세 인구)/전체인구 50

<그림 25> (65세 이상 인구)/전체인구 50

<그림 26> 단기금리(3개월) 50

<그림 27> 장기금리(10년) 50

<그림 28> 가계저축 52

<그림 29> 가계부채 52

<그림 30> 연금자산/GDP(2016년) 52

<그림 31> 공적연금자산/GDP(2009년) 52

<그림 32> 주식 시가총액/GDP 53

<그림 33> 국공채 시장규모/GDP 53

<그림 34> 한국 변수 54

<그림 35> 일본 변수 54 

첨부
웹-(연구 2018-07) 인구구조 변화가 저축률 및 이자율에 미치는 영향.pdf
목록
다음글
(연구 2018-08) 국민연금 A-K 일반균형 모형의 개선 및 재정평가 연구 (비공개)
이전글
(연구 2018-06) 장기 경제전망 모형에 관한 연구